2020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기출문제 단답 정리입니다. 2020년은 코로나 때문에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와 전기분야 실기 시험이 총 5회가 있었던 관계로 서술형 분량이 많은 편입니다.
실기까지 기간이 많이 남지 않았습니다. 소방기계 계산문제를 푸시면서 서술형 문제는 어느정도 눈에 익혀두셨을테니 남은 2주동안 단답만 따로 외워주시면 충분히 암기가 가능한 분량입니다.
금주 내 21년 단답을 업로드 후 다음주에 통합본으로 파일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
2020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정리
2020년 1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.
포소화설비에서 포소화약제 혼합방식에 따른 방식 중 종류 4가지
▶ 펌프 프로포셔너방식
▶ 라인 프로포셔너방식
▶ 프레져 프로포셔너방식
▶ 프레져사이드 프로포셔너방식
다음은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(NFSC 301) 중
승강식피난기 및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설치기준이다.
⦁ 대피실의 면적은 ( ① ) (2세대 이상일 경우에는 3m^2) 이상으로 하고, 「건축법 시행령」 규정에 적합하여야 하며 하강구(개구부) 규격은 직경 ( ② ) 이상일 것
⦁ 대피실의 출입문은 ( ③ )으로 설치하고, 피난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“대피실” 표지판을 부착할 것
⦁ 착지점과 하강구는 상호 수평거리 ( ④ ) 이상의 간격을 둘 것
⦁ 승강식피난기는 ( ⑤ ) 또는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 것으로 설치할 것
▶ ① 2 ② 60cm ③ 갑종방화문 ④ 15cm ⑤ 한국소방산업기술원
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(NFSC 101) 중
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설치기준이다. ( )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.
⦁ 소화약제 방출구는 ( ① ) (주방에서 발생하는 열기류 등을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)의 청소부분과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, 형식승인 받은 유효설치 높이 및 ( ② )에 따라 설치할 것
⦁ 감지부는 형식승인 받은 유효한 ( ③ ) 및 위치에 설치할 것
⦁ 차단장치(전기 또는 가스)는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
⦁ 가스용 주방자동소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탐지부는 수신부와 분리하여 설치하되,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( ④ ) 면으로부터 ( ⑤ )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,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( ⑥ ) 면으로부터
( ⑦ )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
▶ ① 환기구 ② 방호면적 ③ 높이 ④ 천장 ⑤ 30cm ⑥ 바닥 ⑦ 30cm
건식 스프링클러설비에 하향식 헤드를 부착하는 경우 드라이펜던트 헤드를 사용한다. 사용목적에 대해 간단히 쓰시오.
▶ 사용목적:동파방지
그림은 CO2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 주위의 배관 계통도이다. 방호구역은 A, B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, 각 구역의 소요 약제량은 A구역은 2B/T, B구역은 5B/T이라 할 때 그림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(가) 각 방호구역에 소요약제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조작관에 설치할 때 체크밸브의 위치를 표시하시오.
(나) 그림에서 ①, ②, ③, ④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.
▶ ① 압력스위치 ② 선택밸브 ③ 안전밸브 ④ 기동용 가스용기
2020년 2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.
소방시설 도시기호의 명칭
▶ ① 분말, 탄산가스, 할로겐헤드 ② 선택밸브 ③ Y형 스트레이너 ④ 맹플랜지
연결송수관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.
(가)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[m]가 얼마 이상이며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.
▶ 높이 : 70m 이상
▶ 이유 : 소방자동차에서 공급되는 수력만으로는 규정 노즐방사압력 이상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
(나) 펌프의 흡입측에 연성계 또는 진공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를 가지만 쓰시오.
▶ 수원의 수위가 펌프의 위치보다 높은 경우
▶ 수직회전축 펌프의 경우
(라) 최상층 노즐선단의 방수압력은 얼마 이상인지 쓰시오.
▶ 0.35MPa 이상
(마) 11층 이상의 부분에 설치하는 방수구를 단구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를 2가지만 쓰시오.
▶ 아파트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
▶ 스프링클러설비가 유효하게 설치되어 있고 방수구가 2개소 이상 설치된 층
포소화설비의 배관방식에서 송액관에 배액밸브를 설치하는 목적과 설치장소를 간단히 설명하시오.
▶ 설치목적 : 포의 방출종료 후 배관 안의 액을 방출하기 위하여
▶ 설치장소 : 송액관의 가장 낮은 부분
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구비조건 4가지
▶ 소화성능이 우수할 것
▶ 인체에 독성이 낮을 것
▶ 오존파괴지수가 낮을 것
▶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을 것
▶ 저장 안정성이 좋을 것
각종 제연방식 중 자연제연방식에 대한 내용
(다) 상기 자연제연방식을 변경하여 화재실 상부에 배연기(배풍기)를 설치하여 배출하는 형식으로 한다면 그 방식은 무엇인지 쓰시오.
▶ 제3종 기계제연방식(흡입방연방식)
(라) 현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제연방식을 3가지만 쓰시오.
▶ 자연제연방식
▶ 스모크타워 제연방식
▶ 기계제연방식
에탄을 저장하는 창고에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할 때
(라) 다음은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이다.
⦁ 이산화탄소소화약제의 방사압력이 ( ① )MPa 이상의 것으로 할 것
⦁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 가연성액체 또는 가연성가스 등 표면화재 방호대상물의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소요량이 ( ② )분 이내에 방사되어야 한다.
⦁ 이산화탄소소화약제의 저장용기실의 온도는 ( ③ )℃ 이하가 되어야 한다.
⦁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배관은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( ④ )(저압식은 스케쥴 40)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아연도금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.
▶ ① 2.1 ② 1 ③ 40 ④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중 스케쥴 80
(마)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자동식 기동방식에 사용되는 화재감지기회로(일반감지기를 사용할 경우)는 어떤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그 회로방식과 정의를 쓰시오.
▶ 회로방식 : 교차회로방식
▶ 정의 : 하나의 방호구역 내에 2 이상의 화재감지기회로를 설치하고 인접한 2 이상의 화재감지기가 동시에 감지되는 때에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작동하여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방식
2020년 3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.
/지하 2층, 지상 10층인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스프링클러설비를 설계하고자 할 때
(라) 기호 Ⓐ의 명칭과 최소용량[L]을 쓰시오.
▶ 명칭 : 물올림장치
▶ 용량 : 100L 이상
(마) 기호 Ⓑ의 명칭과 그 기능을 쓰시오.
▶ 명칭 : 기동용수압개폐장치(압력챔버),
▶ 역할 : 배관 내의 압력변동을 자동으로 검지하여 소화 주·충압펌프를 기동 또는 정지(주펌프 수동정지)
(바) 기호 Ⓒ의 명칭과 작동압력범위를 쓰시오.
▶ 명칭 : 릴리프밸브
▶ 작동압력범위 : 체절압력 미만
(사) 기호 Ⓐ 급수관의 최소구경[㎜]을 쓰시오.
▶ 15mm
수조의 유효수량은 100L 이상으로 하되, 구경 15mm 이상의 급수배관에 따라 해당 수조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할 것
펌프가 흡입이 안될 경우 개선방법 2가지
▶ 흡입측 배관의 흡입배관의 길이를 짧게 한다.
▶ 흡입측 배관의 유속을 줄인다.
▶ 펌프의 흡입 관경을 크게 한다.
할론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분사헤드의 설치기준 3가지
▶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의 전역에 균일하게 신속히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
▶ 할론 2402를 방출하는 분사헤드는 해당 소화약제가 무상으로 분무되는 것으로 할 것
▶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은 할론 2402를 방사하는 것은 0.1MPa 이상, 할론 1211을 방사하는 것은 0.2MPa 이상, 할론 1301을 방사하는 것은 0.9MPa 이상으로 할 것
▶ 기준저장량의 소화약제를 1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분말소화설비에 설치하는 정압작동장치의 기능과 압력스위치 방식에 대하여 작성하시오.
▶ 기능 : 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었을 때 주밸브를 개방시키는 장치
▶ 압력스위치 방식 : 정압작동장치의 기동방식 중 한가지로, 약제탱크에 가압가스가 유입되어 적정압력에 이르면 스위치가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여 주밸브를 개방하는 방식
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
⦁ 연소방지설비의 전용헤드 사용시 살수헤드의 수가 4개 또는 5개일 경우 배관의 구경은 ( ① )mm로 할 것.
⦁ 방수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의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( ② )m 이하,
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( ③ )m 이하로 할 것
⦁ 살수구역은 지하구의 길이방향으로 ( ④ )m 이하마다 또는 환기구 등을 기준으로 1개 이상 설치하되, 하나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( ⑤ )m 이상으로 할 것
▶ ① 65 ② 2 ③ 1.5 ④ 700 ⑤ 3
4층 이상 10층 이하의 의료시설에 설치하여야 할 피난기구를 3가지만 쓰시오.
▶ 구조대
▶ 피난교
▶ 피난용트랩
+ 다수인 피난장비, 승강식 피난기
경유를 저장하는 탱크의 내부직경이 40m인 플루팅루프(Floating Roof) 탱크에 포소화설비의 특형 방출구를 설치하여 방출하려고 할 때
(바) 팽창비를 구하는 식
(사) 고발포의 팽창비 범위
▶ 80~1000 미만
(아) 저발포의 팽창비 범위
▶ 20 이하
(자) 포소화약제 종류 5가지
▶ 단백포 소화약제
▶ 수성막포 소화약제
▶ 내알코올포 소화약제
▶ 불화단백포 소화약제
▶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
가로 10m, 세로 15m, 높이 4m인 전기실에 화재안전기준과 다음 조건에 따라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.
(라) 다음은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분사헤드 설치제외 장소이다.
⦁ 방재실, 제어실 등 사람이 ( ① )하는 장소
⦁ 니트로셀룰로오스, 셀룰로이드제품 등 ( ② )을 저장⋅취급하는 장소
⦁ 나트륨, 칼륨, 칼슘 등 ( ③ )을 저장⋅취급하는 장소
⦁ 전시장 등의 관람을 위하여 다수인이 출입⋅통행하는 통로 및 전시실 등
▶ ① 상시 근무 ② 자기연소성물질 ③ 활성금속물질
연돌효과(Stack Effect)를 간략하게 설명하고, 제연설비에 미치는 영향
▶ 연돌효과 : 고층빌딩 내부의 수직공간에서 실의 내부와 외부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가 건물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
▶ 연돌효과가 제연설비에 미치는 영향 :
화재발생 시 실의 내부와 외부공기의 온도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어 피난구의 개방장애, 연기의 빠른 이동 및 확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. 일반적으로 연돌효과의 방지는 외기의 침입을 막는 형태로서 방풍실 등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.
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중 배수설비
(가) 경계턱의 기준
▶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
(나)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하는 2곳을 포함하여 기준
▶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,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
(다) 기울기의 기준
▶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
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
펌프의 성능시험
(가) 체절운전점에 대하여 설명
▶ 정격토출압력의 140%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지점
(나) 정격운전에 대하여 설명
▶ 정격토출량의 100%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100%로 운전하는 지점
(다) 최대운전(피크운전)에 대하여 설명
▶ 정격토출량의 150%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65% 이상으로 운전하는 지점
(라) 펌프의 성능특성곡선을 그리고 체절운전점, 설계점, 운전점을 표시하시오.
2020년 4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.
/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
표면화재 방호대상물의 소화약제 저장량에 대한 표를 나타낸 것이다.
방호구역의 체적 | 방호구역의 1 에 대한 소화약제의 양 |
소화약제 저장량의 최저한도의 양 |
45 미만 | ( 1kg ) | ( 45kg ) |
45 이상 150 미만 | 0.9kg | |
150 이상 1450 미만 | ( 0.8kg ) | 135kg |
1450 이상 | 0.75kg | ( 1125kg ) |
물분무소화설비의 배수설비 설치기준이다.
⦁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( ① )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
⦁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( ② ) 이하마다 집수관, 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
⦁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( ③ )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
⦁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
▶ ① 10 ② 40 ③
파이프(배관)시스템 설계시 Moody 챠트에서 배관 길이에 대한 마찰손실 이외에 소위 부차적 손실을 고려하게 된다.
부차적 손실은 주로 어떠한 부분에 발생하는지 3가지만 기술
▶ 관부속품에 의한 손실
▶ 배관의 확대에 의한 손실
▶ 배관의 축소에 의한 손실
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
(나) 유입공기의 배출방식 3가지
▶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
▶ 배출구에 따른 배출
▶ 제연설비에 따른 배출
(다) 방연풍속의 기준표
제연구역 | 방연풍속 | |
⦁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⦁계단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|
( ① )[m/s] 이상 | |
⦁부속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⦁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|
부속실 또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거실인 경우 | ( ② )[m/s] 이상 |
부속실 도는 승강장이 면하는 옥내가 복도로서 그 구조가 방화구조인 것 | ( ③ )[m/s] 이상 |
▶ ① 0.5 ② 0.7 ③ 0.5
2020년 5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.
소화설비의 급수배관에 사용하는 개폐표시형 밸브 중 버터플라이밸브(볼형식이 아닌구조) 외의 밸브를 꼭 사용하여야 하는 배관의 이름과 그 이유를 쓰시오.
▶ 배관의 이름 : 흡입측 배관
▶ 이유 : 유효흡입양정이 감소되어 공동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
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이다.
⦁ ( ① )마다 설치
⦁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근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
( ② )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
⦁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( ③ )의 위치에 설치하고,
보호판 등에 따른 ( ④ )를 설치할 것
⦁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( ⑤ )을 설치할 것
⦁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( ⑥ )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⦁ ( ⑦ ) 이하의 힘을 가하여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
▶ ① 방호구역 ② 피난 ③ 0.8m 이상 1.5m 이하 ④ 보호장치 ⑤ 전원표시등 ⑥ 음향경보장치 ⑦ 5kg
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
(가) 11층 이상에 설치하는 방수구를 단구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를 2가지
▶ 아파트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
▶ 스프링클러설비가 유효하게 설치되어 있고 방수구가 2개소 이상 설치된 층
(나) 배관을 습식 설비로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
▶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31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지상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
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소방대상물의 보와 가장 가까운 간이헤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설치한다. 그림에서 ( )에서 수직거리를 쓰시오.
(단, 천장면에서 보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55㎝를 초과하고 보의 하단 측면 끝부분으로부터 간이헤드까지의 거리가 간이헤드 상호간 거리의 1/2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간이헤드와 그 부착면과의 거리를 55㎝ 이하로 할 수 있다.)
▶ ① 0.1m 미만 ② 0.15m 미만 ③ 0.15m 미만 ④ 0.3m 미만
2021년에 합격한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, 전기분야 합격수기 및 실기 요점정리 자료는 아래 글을 참고해보시면 되겠습니다.
'공부 > 소방설비기사 기계 단답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요점정리 (6) | 2022.04.25 |
---|---|
2021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4.22 |
2019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4.15 |
2018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2) | 2022.04.08 |
2017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4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