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실기의 경우 단답 비중이 보통 20~30% 정도이나(회차별 상이) 1점이 아쉬울 상황에서 점수를 올릴 부분은 단답이 되겠습니다. 따라서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서술형 중 쉬운 부분은 꼭 챙겨가셔서 한번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. 단답을 틈틈히 봐두신다면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를 합격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실거에요.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.
2011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정리입니다. 복습 후 2012년 암기하시면 되겠습니다.
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모음집을 요청하시는 분이 많으셔서 스타벅스에서 가스기사 필기 공부 겸 소방설비기사 기계 단답 포스팅 작성해서 업로드 후 놀러 나가보겠습니다. 즐거운 주말되세요!
2012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정리
2012년 1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정리
/관부속류에 관한 다음 소방시설 도시기호의 명칭을 쓰시오.
(가) 분말·탄산가스·할로겐헤드
(나) 선택밸브
(다) Y형 스트레이너
(라) 맹플랜지
/펌프의 흡입관에 버터플라이밸브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를 2가지만 쓰시오.
▶ 유효흡입양정 감소로 공동현상 발생
▶ 밸브의 순간적인 개폐로 수격작용 발생
/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
표면화재 방호대상물의 소화약제 저장량에 대한 표를 나타낸 것이다.
방호구역의 체적 | 방호구역의 1 에 대한 소화약제의 양 |
소화약제 저장량의 최저한도의 양 |
45 미만 | 1kg | 45kg |
45 이상 150 미만 | 0.9kg | |
150 이상 1450 미만 | 0.8kg | 135kg |
1450 이상 | 0.75kg | 1125kg |
/화재시 분말소화설비를 작동시켰더니 넉다운효과가 일어나지 않았다.
넉다운효과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넉다운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5가지를 쓰시오.
▶ 넉다운효과 : 약제방출시 10~20초 이내에 순간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것
▶ 이유 :
약제에 이물질이 혼합되어서
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가 방출되어서
바람이 10m/s 이상으로 불 경우
큰 화재의 경우
금속화재의 경우
/소화설비에서 연성계, 압력계, 진공계의 설치위치와 측정범위를 쓰시오.
(가) 연성계
▶ 설치위치 : 펌프의 흡입측
▶ 측정범위 : 0.1~2MPa , 0~76cmHg
(나) 압력계
▶ 설치위치 : 펌프의 토출측
▶ 측정범위 : 0.05~200MPa
(다) 진공계
▶ 설치위치 : 펌프의 흡입측
▶ 측정범위 : 0~76cmHg
/펌프의 성능시험과 관련하여 ( ) 안에 적당한 수치를 넣으시오.
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( ① )%를 초과하지 아니해야 하고, 유량측정장치는 성능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,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( ② )% 이상
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.
▶ ① 140 ② 175
/제연설비에 사용되는 송풍기를 설계하려고 한다.
(다) 제연설비에서 사용되는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 2가지
▶ 터보팬
▶ 다익팬
2012년 2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정리
/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중 압력챔버의 기능 3가지를 쓰시오.
▶ 수격작용 방지
▶ 배관 내의 압력저하시 충압펌프 또는 주펌프의 자동기동
▶ 배관 내의 순간적인 압력변동으로부터 안정적인 압력감지
/이산화탄소소화설비, 배관의 설치기준에 관한 ( ) 안을 완성하시오
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(KS D 3562) 중 스케줄 ( ① )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( ② )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
▶ ① 80 ② 아연도금
@암기
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배관설치기준
▶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중 스케줄 80 이상(저압식에 있어서는 스케줄 40 이상)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아연도금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
(단, 배관의 호칭구경이 20mm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4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.)
▶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이음이 없는 동 및 동합금관(KS D 5301)으로서 고압식은 16.5MPa 이상, 저압식은 3.75MPa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
/6%형 단백포의 원액 300를 취해서 포를 방출시켰더니 발포배율이 16배로 되었다.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(나) 포의 팽창비율
팽창비율에 따른 포의 종류 | 포방출구의 종류 |
팽창비가 20 이하인 것(저발포) | 포헤드 |
팽창비가 80 이상 1000 미만인 것(고발포) | 고발포용 고정포방출구 |
2012년 4회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정리
/스윙형 체크밸브의 특징을 리프트형 체크밸브와 비교하여 간략히 쓰시오.
▶ 수평. 수직 설치용이며 작은 배관상에 많이 사용
/그림은 CO2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저장용기 주위의 배관 계통도이다. 방호구역은 A, B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, 각 구역의 소요 약제량은 A구역은 2B/T, B구역은 5B/T이라 할 때 그림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(가) 각 방호구역에 소요약제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조작관에 설치할 때 체크밸브의 위치를 표시하시오.
(나) 그림에서 ①, ②, ③, ④ 기구의 명칭을 쓰시오.
▶ ① 압력스위치 ② 선택밸브 ③ 안전밸브 ④ 기동용 가스용기
/스프링클러설비 가압송수장치에 사용되는 압력챔버의 주된 역할과 압력챔버에 설치되는 안전밸브의 작동범위를 쓰시오.
(가) 압력챔버 역할 :
▶ 배관 내의 압력저하시 충압펌프 또는 주펌프의 자동 기동
(나) 압력챔버에 설치되는 안전밸브의 작동범위 :
▶ 호칭압력과 호칭압력의 1.3배
/위험물탱크에 설치하는 포방출구에 대한 그림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(가) 그림에서 ①, ②, ③, ⑥번의 명칭을 기입하시오.
▶ ① 포방출구 ② 공기흡입구 ③ 스트레이너 ⑥ 발포기
(나) 포방출구로부터 포가 방출될 때 ⑥의 상태를 쓰시오.
▶ 포수용액이 통과할 때 공기가 유입되면서 포수용액과 혼합되어 포를 발생시킴
(다) ⑦과 같이 본체를 경사시키는 목적 2가지를 쓰시오.
▶ 발생된 포를 모두 포방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해
▶ 발생된 포를 신속하게 포방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해
/아파트 주방에 주방용 자동소화장치(6~15층)를 설치하려고 한다. 다음을 구하시오.
(가) 가스차단장치는 주방배관의 개폐밸브로부터 몇 m 이하의 위치에 설치?
▶ 2m 이하
(나) 탐지부 위치를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와 무거운 가스로 구분하여 설치하는데,
각각의 경우에 대한 설치기준을 작성하시오.
▶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: 천장면에서 30cm 이하
▶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: 바닥면에서 30cm 이하
/ 동일성능의 소화펌프 2대를 병렬, 직렬로 연결하여 운전하였을 경우 펌프운전 특성곡선을 1대의 특성곡선과 비교하여 다음 그래프 위에 나타내시오.
(단, 저항곡선을 포함하여 2가지 경우에 대해 각각 유량을 결정하시오.)
/화재하중의 정의를 설명하고, 그 관계식을 쓰시오.
▶ 정의 : 화재실의 단위면적당 가연물의 양
▶ 식 :
(여기서, q: 화재하중 A: 바닥면적, : 가연물의 전체 발열량)
/자동 스프링클러설비 중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일제개방밸브의 개방방식은 2가지로 구분한다. 2가지 방식의 종류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▶ 종류 : 가압개방식
▶ 작동원리 :
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
전자개방밸브 혹은 수동개방밸브를 개방하면
가압수가 실린더실을 가압하여 일제개방밸브가 열리는 방식
▶ 종류 : 감압개방식
▶ 작동원리 :
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
전자개방밸브 혹은 수동개방밸브를 개방하면
가압수가 실린더실을 감압하여 일제개방밸브가 열리는 방식
앞으로 9년치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요점정리가 남았습니다. 그래도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단답보다는 적은 내용이기에 암기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 아래의 소방설비기사 합격 후기 및 자료도 참고하시면 소방기계 합격에 도움되실 겁니다!
'공부 > 소방설비기사 기계 단답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4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3.07 |
---|---|
2013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3.03 |
2011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2010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2.01.27 |
2009년 소방설비기사 기계 실기 단답 기출문제 (0) | 2021.12.05 |
댓글